💽 Classics 155

Quartet for Flute No.3 in C major, K.285b (Mozart)

Quartet for Flute No.3 in C major, K.285b(플룻사중주 3번/Mozart)Flute, Michael Martin Kofler Salzburg Mozart Quartet 1악장 Allegro 작품개요 당시 악기로서 풀룻의 조약(粗惡)한 성능 때문에 풀룻을 별로 선호하지 않았던 모차르트가 독일 만하임(Mannheim)에서 알게된 당대 유럽 최고의 풀룻 연주가인 요한 밥피스트 벤들링(J.B.Wendling)의 비루투오소(Virtuodo)적인 연주에 감동을 받은후 벤들링의 권유로 만하임에서 1777년과 1778년경 불과 2,3개월 사이를 두고 두 곡의 풀룻 협주곡과 푸룻 사중주 곡을 작곡하게 된다. 2악장 Theme con variazioni Andante-Adagio-Allegr..

Clarinet Quintet in B Flat major, Op.34 J. 182 (Weber)

Clarinet Quintet in B Flat major, Op.34 J. 182(클라리넷 5중주/Weber)Clarinet, Eric Hoeprich London Haydn Quartet 1악장 Allegro 작품개요 베버가 남긴 클라리넷을 위한 많은 실내악곡 중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곡이 완성되었던 1815년 여름, 베버는 뮌헨에 머물렀다. 당시 그는 카롤리네 브란트와 가까운 사이였으나, 카롤리네 어머니의 반대로 결혼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베르만을 찾았던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작곡된 만큼 베르만에 대한 감사와 카롤리네에 대한 그리움이 나타난다. 클라리넷이 협주곡의 독주 악기처럼 사용되어졌고, 아름다운 멜로디와 더불어 극적인 효과가 풍부하다. 2악장 Fantasia...

Symphony No.1 in C minor, Op.68 (Brahms)

Symphony No.1 in C minor, Op.68(교향곡 제1번/Brahms)Cond, Daniel Barenboim Staatskapelle Berlin 1악장 Un poco sostenuto-Allegro 작품개요 브라암스는 단 4곡의 교향곡을 남겼지만 그의 많은 작품 가운데 중요하고 핵심적인 것이 1번 교향곡이라 할 수 있다. 한스 폰 뷜로는 이 작품을 베토벤의 제10번 교향곡이라 하면서 제9번 교향곡 다음 가는 작품이라 말할 정도로 베토벤의 정신이 담긴 작품이다. 이곡을 표현하는 "암흑에서 광명을" 또는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로 이끌어 올리는 투쟁 정신" 같은 말도 베토벤의 작품과 일맥 상통한다고 하였다. 2악장 Andante sostenuto 3악장 Un poco allegretto gr..

노래의 날개 위에 (Auf Flugein des Gesanges)

🎵노래의 날개 위에 (Auf Flugein des Gesanges)(F.Mendelssohn)- Sop 강미자 - 노래에 날개 위에 그대를 보내오리 행복에 가득찬 그 곳 아름다운 나라로 향기로운 꽃동산에 달빛은 밝은데 한송이 연꽃으로 그대를 반기리 한송이 연꽃으로 그대를 반기리 노래의 날개 위에 그대를 보내오리 행복에 가득찬 그 곳 아름다운 나라로 향기로운 꽃동산에 달빛은 밝은데 한송이 연꽃으로 그대를 반기리 한송이 연꽃으로 그대를 반기리 종료나무 그늘아래 사랑에 취하여 고요히 임과 함께 꿈속에 잠기리 꿈속에 잠기리 단꿈속에

그대의 창에 등불 꺼지고 (Fenesta che luicivi e mo non luci)

🎵그대의 창에 불은 꺼지고 (O Sole Mio)(Bellini)- Tener 엄정행 - Fenesta che lucivi e mo non luci Sign' e ca nenna mia stace ammalata S'affaccia laso rella e melodice Nennella toja e morta e s'e atterrata Chiagneva sempe ca, dorme va sola Mo dorme co li muorte accompagnata Mo dorme co li muorte accompagnata Chiagneva sempe ca, dorme va sola Mo dorme co li muorte accompagnata Chiagneva sempe ca, dorme va sola M..

오 나의 태양 (O Sole Mio)

🎵오 나의 태양 (O Sole Mio)(E.Di Capua)- Tener 김화용 - 오 맑은 햇 빛 너 참 아름답다 폭풍우 지난후 너 더욱 찬란해 시원한 바람 솔솔 불어 올 때 하늘에 밝은 해는 비치인다 나의 몸에는 사랑스런 나의 햇님뿐 비치인다 오 나의 햇님 찬란하게 비치인다 나의 몸에는 사랑스런 나의 햇님뿐 비치인다 오 나의 햇님 찬란하게 비치인다

String Quartet No.2 in F major, EG.117 (Grieg)

String Quartet No.2 in F major, EG.117(현악 4중주 2번 F 장조/Grieg)Oslo String Quartet 1악장 Sostenuto 작품개요 서정 소곡집을 중심으로 많은 피아노 소품을 작곡한 그리그이지만 소나타는 1865년에 작곡한 단 한 곡에 그쳤다. 아마 소나타란 형식이 자유로운 서정의 표현을 제한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4악장 구성으로 북구적 서정이 감도는 작품이다. 피아노 협주곡도 단 한 곡 뿐 이며, 모두 20세 때의 젊은 시대의 작품이라는 것이 흥미 깊다. 2악장 Allegro Scherzando 3악장 Adagio 4악장 Allegro Giocoso .

Piano Sonata in E minor, Op.7 (Grieg)

Piano Sonata in E minor, Op.7(피아노 소나타 Op.7/Grieg)Piano, Havard Gimse 1악장 Allegro moderato 작품개요 작곡가들의 작품을 작곡 분위기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확신에 의해서 감전된 듯 써나가는 작품이 있고, 반신반의하며 회의 속에서 작곡하는 곡이 있다고 할 때 '페르 귄트'는 명백히 후자에 속할 것이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그리그는 평소 자신의 음악 스타일이 서정적이라 극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페르 귄트'를 처음 의뢰받았을 때도 반신반의했었다고 한다. 돈 때문도 아니었고 단지 주제가 음악적이지 않아 아무런 영감도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르웨이가 낳은 위대한 극작가 헨리크 입센(Henrik Ib..

"Peer Gynt" Suite No.1, Op.46 (Grieg)

"Peer Gynt" Suite No.1, Op.46(제1모음곡 Op.46/Grieg)Cond, Mark Ermler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제1곡 아침(Morgenstimmung)의 기분 작품개요 작곡가들의 작품을 작곡 분위기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확신에 의해서 감전된 듯 써나가는 작품이 있고, 반신반의하며 회의 속에서 작곡하는 곡이 있다고 할 때 '페르 귄트'는 명백히 후자에 속할 것이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그리그는 평소 자신의 음악 스타일이 서정적이라 극음악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페르 귄트'를 처음 의뢰받았을 때도 반신반의했었다고 한다. 돈 때문도 아니었고 단지 주제가 음악적이지 않아 아무런 영감도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

String Quartet No.12 in Eb major, Op.127 (Beethoven)

String Quartet No.12 in Eb major, Op.127(현악4중주 12번/Beethoven)Melos Quartet 1악장 Maestoso 작품개요 현악 4중주 11번 ‘세리오소’(1810)는 확실히 베토벤의 중기 현악 4중주에서 벗어나 양식상 커다란 변화의 조짐을 보여준 것이었다. 그로부터 약 10년 동안 베토벤에게 현악 4중주는 없었다. 발표만 안한 것이 아니라 작곡에도 손을 놓고 있었다. 베토벤이 다시 현악 4중주 장르로 돌아온 것은 50세 초반. 대작 [함머클라비어]를 비롯한 피아노 소나타 작곡이 모두 끝나고 실내악 주요 작품도 모두 나온 뒤인 1823년 [교향곡 9번]과 [장엄 미사]를 작곡하던 시대였다. 이후 Op.127, Op.130, Op.131, Op.132, Op.13..